
안녕하세요! 요즘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서 졸업작품이나 혹은 개인 프로젝트를 하시는 분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라즈베리파이를 매우 많이 사용하고 있구요! 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라즈베리파이를 편하게 쓰기위한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어쨌든 이 과정을 하기 위해서도 당연히 라즈베리파이를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처음에는 연결 하셔야 합니다! 우선 micro sd카드에 raspbian 운영체제 이미지를 넣은 상태라고 가정하고 시작하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와 마우스 키보드를 연결합니다! 그리고 집에서 사용하시는 와이파이를 라즈베리파이와 연결해야하는데요! 연결하시고 초기 셋업을 완료 한 뒤에 이러한 상태일 것입니다 ! 여기서 왼쪽 상단에 터미널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 뒤에 터미널창에 ..

안녕하세요! 최근 애플에서 새로운 버전의 macOS Big Sur를 배포했습니다! 빅서게이트도 그렇고, 업데이트 이후 맥이 느려졌다고 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 저는 제 맥에서 실행하는 visual studio code의 터미널이 매우 자주 자주 자주 끊기는 현상을 느꼈었는데요 혹시 여러분도 그러셨나요..? 네 바로 빨간 네모 요놈이죠. 그래서 혹시나 다른 사람들도 이런 이슈가 있을까 하고 검색해봤습니다..... big sur terminal lagging... 검색결과는 놀랍게도..... 대부분의 Big sur 업데이트 사용자들이 이 현상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터미널에 코드 한줄 입력하는 것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바로 알려드릴게요! codesign --rem..

React APP을 플라스크 서버 위에 호스팅하기. yarn build 한 index.html 파일을 그대로 flask 에서 리턴하게 했더니 안되어서 시작한 테스트. yarn global add create-react-app react-scripts create-react-app react-app. ├── README.md ├── README.md └── flask-server/ └──static/ └──templates/ └── main.py └── react-app/ └── node_modules/ └── public/ └── src/ main.py 내용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 app = Flask("__main__") @app.route("/")..
React.js 를 사용해 개발하다가 완성이 되면 npm start를 이용해 개발 서버(디폴트 3000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npm(yarn) build 를 이용해서 나온 아웃풋을 보통 호스팅 하게 됩니다. 하지만 가끔 어쩔 수 없는 이유로 npm start를 이용해 운영을 하게 될 수 도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Linux Systemd 서비스로 등록해서 부팅시 자동으로 개발 서버가 실행되게 세팅 해야하는 환경에서 제가 겪은 이슈입니다. 우선 create-react-app 으로 생성한 코드를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sudo vi /etc/systemd/system/reactrun.service 를 통해 react 개발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service를 만듭니다. systemd 서비스 등록을 위한 ..